2015년 7월 20일 월요일

골조공사

석재 마감으로 깔끔한 마무리 준공을 앞두고 있는 중입니다,
아래는 현장 마지막 건물 3층 바닥 타설 직후
 3층 바닥 타설 중 ,,,
 외장 대리석 작업 완료 후 준공을 기다리는 중 ,,,

 


 
타설전 감리관 검측 확인중 ,,,

2015년 6월 11일 목요일

골조공사

 왼쪽 2개동 먼저 하고 우측 시공했읍니다,
오랜 경력으로 쌓인 노하우로 내집을 짓는 맘으로 ,,, 이윤을 조금은 절제하고
열과 성을 다해서 시공하였읍니다.

 소임를 마치고 자재 창고로 직행,,,


2015년 5월 29일 금요일

2015년 5월 13일 수요일

골조공사


1층 필로티는 옥탑 타설후  해체 예정 입니다,

 일요일 작업 불가로
공기가 자꾸 늘어 가고  반면 slab 존치기간은 늘어나
골조는  충분한 양생 기간  벌어서 좋은 점은 있네요 ,ㅠㅠ

 
 
오늘  두개동 마지막 층 con`c타설 
 

2015년 4월 25일 토요일

골조공사

 


트랜지 footing 선시공 
1 층 바닥 F.L 레벨과 외벽 마감에 근거하여  트랜지를 제작 설치후 타설 하였읍니다
바닥은  기계미장(일명 휘니샤)





동결심도유지  매트 두께 600유지

 아침6시40분착으로 시작해서 오후 4시50분 타설완료했읍니다)
래미콘 ( 605m3 )


기초con`c타설 직후 모습 (휘니샤 작업 대기중,,, )

바닥과 마당을 일체형으로 타설 함으로써 지난해 매립성토한 지반의 
지내력에 대한 염려를 한층 덜었읍니다.




필로티 형틑작업

보 (솟고) 작업

시방서의 따른 바를 시공을 함으로써
1층 필로티 상부 즉 2층 바닥구조는  상층 건물전체의 하중을 받아야 하기에
아주 중요 합니다

 

con`c 타설 직전


옥상에서 내려다본 3개동 현장 전경 입니다


필로티 상부 즉 2층 바닥
타설 중 입니다


오늘 4월25일 b-2동 5층 바닥 타설 하였읍니다
앞쪽 작업하는 동은 화요일 타설 예정입니다.


 

2015년 2월 11일 수요일

골조공사



,도

줄기초 거푸집 해체후 되메우기전
안에 들어 있는 자재는 실링바로 묶어 백호로 들어 낸 다음 작업예정입니다.

1층 바닥 레벨 맞추어 네모도 작업 .
저기 박힌 각재위에서45센티 올라 오는 부분이 1층 바닥 f.l입니다.


 외부와 접하는 내부 벽체엔 단열재 100미리 설치후  되메우기
벽에 붙어 있는 단열재는 1종 일반 스치로폴 100미리를 사용
(참고로 단열재는 1종보다 2종이 좋은 겁니다.)
붙은 단열재 높이가 되메우기 레벨이기에 배관 매립후 평토작업한후
저위에 일반 100미리 단열재가 올라 타고 그위에 1층 바닥 배근


철근은 간격에 맞게 철근 받침대(스페샤)는 일정한 간격으로 타설시 상부근과 하부근 간격을
유지해 줘야 한다.
 지표면이므로 혹시 모를 습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 시공후 단열재를(100T) 설치했읍니다.
외부와 개방된 발코니 부분은  필히 바닥을 down


비닐 설치한 모습

벽체철근 조립 전 단열재 시공 확인 후 작업
건축에 있어 단열은 아주 중요하기에 네오폴(2종가등급)을 사용했읍니다.
형틀외부 벽체에 단열재를 설치할때간극이 발생 하지 않게 밀착 시공해야 합니다.


시공하다 보면 ,,,
단열재의 정확한 각이 나오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폼충진재로 충분히 사춤해주면 좋습니다.
좋은 재료라도 시공이 잘못되면 소용 없겠죠.

















기초공사

 터파기 및 잡석 다짐 줄기초를 위한 버림 콘크리트 타설
전체를 덜어내고 나중 6w장비로  되메우기 할때  흙다짐이  효과적일뿐 아니라
하수 오수 배관설치시 구배를 보다 정확하게 잡을수 있다.
물론 이런 되메우기 방법은 바닥 면적이 조그만 할때만 효과 적이다.
수도 배관과 접지 미리 매입도 체크
 줄기초 두께300미리 동결선 1미터이상 확보하고 con`c레벨을 체킹
타설시 바이브레이타 작업 체크


다음은 철근조립과 단열재의 올바른 시공 방법에 대해 게제 하겠읍니다.
감사합니다*^^*